2일 오전 미얀마 만달레이의 지진으로 무너진 아파트에서 시신 수습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가족 시신이 발견돼 오열하는 미얀마 여성을 구조대원이 끌어안고 위로하고 있다. 만달레이(미얀마)=허경주 특파원 “여기! 10대 추정 사자(死者) 두 명!”2일 오전 9시 10분,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 중심부에 위치한 12층 규모 아파트 ‘스카이빌라’ 붕괴 현장. 이날 수색 시작 10분 만에 무너진 건물 잔해 위에서 굴착기로 콘크리트 더미를 헤집던 중국 청전구조대 소속 대원이 아래를 향해 소리쳤다.한 미얀마인이 이를 통역하자 구조 활동을 지켜보던 사람들의 눈이 동그래졌다. 순간, 한 여성이 벌떡 일어서며 외쳤다. “내... 내 아이들 같아요!” 이 건물에 인근 대학에 재학 중이던 딸 수나디(20)와 아들 아마디(15)가 함께 살았는데, 아직 생사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게 그의 설명이었다.다른 중국 구조대원들과 미얀마인 자원봉사자들이 곧바로 잔해 사이를 확인할 내시경 카메라와 철근을 자를 화염방사기, 소독제 등을 짊어지고 잔해 위로 뛰어올라갔다.무더위 속에서 시신을 끄집어낼 공간을 확보하느라 사투를 벌인 지 1시간 50분이 지난 시각. 한 작업자가 다급하게 시신 수습 가방과 방수포를 준비했다. 오전 11시, 한 명이 먼저 건물 밖으로 빠져나왔다.여성의 아들 아마디가 맞았다. 내내 눈물을 참고 있던 엄마와 할머니는 아이의 얼굴을 확인하고는 비명에 가까운 울음을 토해냈다. 그는 기자에게 휴대폰 속 사진을 보여주며 아이들이 얼마나 사랑스럽고 아름다웠는지를 한참 설명한 뒤 이렇게 말했다. “미얀마뿐 아니라 다시는 어느 곳에도 이런 비극이 생기지 않도록, 그리고 세상 사람들이 우리의 이야기를 알 수 있도록 꼭 자세히 전해주세요.” 한 미얀마 여성이 2일 만달레이 지진 구조 현장에서 시신으로 발견된 아들 아마디(왼쪽)의 생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만달레이(미얀마)=허경주 특파원 아직 가족의 생사도 확인하지 못한 남은 이들은 누군가는 망연자실한 얼굴로, 누군가는 부러운 얼굴로 이들을 바라보며 눈물만 흘렸다.’기적’ 바라기 어려운 상황이날 구조 작업이 진행된 스카이빌라는 지상 12층, 지하 2층 규모 아파트다. 400여 명 넘게 거주 중이었으나 지난달 28일 미얀마 만달레이 인근 이원규 고려사이버대 총장은 인터뷰에서 “고려사이버대가 온라인 교육기관을 넘어 전문 지식과 실무 경험을 함께 쌓을 수 있는 대학이 될 수 있도록 외연을 확장하고 교육의 질을 더 높이겠다”고 밝혔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대부분 대학이 온라인 수업을 강화하며 교육 환경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있다. 사이버대는 이런 대학과 경쟁하며 생존해야 한다.” 이원규 고려사이버대 총장(62)은 지난달 25일 본보 인터뷰에서 “사이버대가 일반 대학과 경쟁하기 위해 이제 더 다양한 측면에서 노력해야 한다”며 “이것이 고려사이버대가 외연 확장에 주력해야 하는 이유”라며 이같이 말했다.2월 28일 고려사이버대 제7대 총장으로 취임한 이 총장은 1985년 고려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한 뒤 일본 쓰쿠바대에서 공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6년 고려대 컴퓨터교육과 교수로 임용된 뒤 학생처장, 정보대학장, 교무부총장 등을 지냈다. 서울 종로구 고려사이버대에서 이 총장을 만나 소감과 향후 계획을 들었다. 다음은 일문일답. ―총장 취임 소감은 어떤가.“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 현재 사이버대는 디지털 전환 등 급변하는 교육 환경에서 새로운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학 외연을 확장하고 교육의 질을 더 높여 학생이 전문적인 지식과 실무 경험을 쌓아 사회의 핵심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외연 확장의 의미는 무엇인가.“고려사이버대는 2001년 설립됐다. 25년 동안 온라인 교육에서 많이 노력해 왔지만 주로 등록금 수입에 의존했다. 이제는 기금 모금, 연구 등을 통해 회계 규모를 확대하고 싶다. 또 고려사이버대가 국내에만 머물지 않고 해외까지 확장해 글로벌 대학이 되도록 만들어 가고 싶다.” ―고려대에서 다양한 보직을 맡았다. 이 경험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학생처장 정보대학장 교무부총장 등을 역임하며 학사 운영, 연구 환경 조성, 대외 협력 등 다양한 실무 경험을 쌓았다. 이를 통해 학교를 바라보는 시각을 다양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