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1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2025.04.01. yes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인용이 지난해 2월 정부의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발표 이후 지속되고 있는 의정 갈등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6일 의료계에 따르면 헌재가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 탄핵을 인용한 후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 해소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과 함께 의료계가 대정부 협상안 마련에 적극 나서지 않으면 정치적 지형의 변화와 별개로 갈등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의료계 안팎에서 동시에 나오고 있다.헌재가 윤 전 대통령 탄핵을 인용하자 의사단체들은 의정 갈등이 해소되길 기대한다는 목소리를 잇따라 냈다. 의대 증원 등 의료개혁을 주도해온 윤 전 대통령이 물러나면서 의료개혁 추진 동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이유다. 의대 증원·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등 재논의, 사태 책임자 처벌, '전공의 처단 포고령' 책임자 규명 등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지난 4일 입장문을 내고 "지난 1년 이상 지속돼온 의료농단 사태의 종식을 기대한다"면서 "의개특위 등에서 추진되던 잘못된 의료정책들을 중단하고,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등을 합리적으로 재논의해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의료현장과 교육현장으로 돌아오는 단초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대전협 비대위)는 같은 날 입장문을 내고 "윤 대통령 독단으로 실행된 모든 의료 정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면서 "사태 해결을 위한 건설적인 대화의 장이 열리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의사회는 같은 날 성명을 내고 "의료개혁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을 ‘처단’하겠다고 했던 윤석열 정부의 참혹한 의료계엄의 주동자와 부역자들 역시 반드시 처벌돼야 한다"고 밝혔다.그러나 의사를 대표하는 유일한 법정단체로 구심점 역할을 해야 할 의협이 대정부 협상안 마련에 소극적인 자세를 유지하면 사태 해결은 지지부진할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의정 간 합의점을 찾으려면 의료계는 의사단체 대표들이 내부 목소리를 담은 단일 협상안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의협은 대안이나 협상안 마련보다는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후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해체, 의정갈등 책임자 문 러시아군 공격으로 초토화된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의 거리 [연합뉴스] 우리 정부가 우크라이나 정부와 함께 수도 키이우 지역의 전후 재건사업 협력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는 지난 3일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키이우 지역 교통 마스터플랜' 수립 사업 최종보고회를 열었다고 6일 밝혔다. 보고회에는 우크라이나 공동체영토개발부의 마리나 데니시우크 차관과 키이우주(州), 우크라이나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앞서 정부는 2023년 9월 국토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민관합동 재건협력 대표단을 키이우에 파견해 우크라이나 정부와 공동으로 추진할 6대 선도 프로젝트를 발표했다.이 중 대표 격이 키이우 교통 마스터플랜 수립 사업이다. 최종보고회에서 KIND는 키이우 지역 공간 개발 및 재건 계획과 대중교통·주차·교통인프라 등 부문별 개선 사항을 제시했다. 유럽연합(EU)의 범유럽 교통망 구축 사업과 연계한 스마트 모빌리티 구축 전략도 제안했다.데니시우크 차관은 한국 정부와 기업에 감사를 표하며 "관계 기관과 면밀히 검토한 뒤 올해부터 본 사업에 착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고 국토부는 전했다.국토부는 마스터플랜에서 도출한 과제의 사업화 방안을 우크라이나 정부와 협의하고, 국내 기업이 재건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이윤희기자 stels@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