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폭탄에 뉴욕증시가 급락한 가
트럼프 관세 폭탄에 뉴욕증시가 급락한 가운데 헤지펀드들이 2020년 코로나19 퍈데믹 이후 최대 규모의 마진콜에 직면했습니다. '최악의 시나리오'라는 평가를 받는 트럼프 상호관세는 이틀 동안 뉴욕증시 시가총액 6조6천억달러(약9천600조원)를 날려버렸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현지시간 5일 복수의 수소식통을 인용해 월가 은행들이 고객사 헤지펀드들에게 더 많은 증거금을 낼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일부 대형 은행의 이 같은 마진콜 규모는 2020년 3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팬데믹을 맞아 미국에 봉쇄령을 내리면서 증시가 폭락했던 때에 버금갈 정도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뉴욕 증시는 팬데믹 봉쇄 당시 폭락 이후 5년 만에 최악의 1주일을 보냈습니다. 한 주요 은행에서 헤지펀드들을 대상으로 한 대출을 담당하는 이른바 프라임 브로커리지 부문 간부는 "(국채)금리, 주식, 석유 모두 급격히 하락했다"면서 이런 금융 시장 폭락세 와중에 마진콜 역시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이후로는 이렇게 시장이 요동친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덧붙였습니다.모건스탠리 프라임 브로커리지 팀이 낸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상호관세 충격이 본격적으로 시장을 덮친 지난 3일은 미 주식 헤지펀드들에 최악의 하루였습니다. 관련 통계를 추적하기 시작한 2016년 이후 최악이었습니다. 이들 헤지펀드가 보유한 종목들은 평균 2.6% 하락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3일 헤지펀드 매도세는 역대 최악이었다면서 매도세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투매, 2023년 미 지역은행 위기 당시 매도세와 견줄 정도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런 매도세로 미 주식 헤지펀드들이 은행에서 돈을 빌려 주식 투자에 나서는 정도를 나타내는 순 레버리지는 1년 반 만에 가장 낮은 약 42% 수준으로 추락했습니다.자산 시장이 트럼프 관세전쟁 우려로 패닉에 빠져있는 가운데 금 가격 급락이 이런 마진콜 흐름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전통적인 안전자산인 금은 4일 가격이 2.9% 급락했습니다.스탠다드차타드(SC)의 귀금속 담당 애널리스트 수키 쿠퍼는 헤지펀드들이 "마진콜을 맞추기 위해" 귀금속을 내다 팔면서 금 가격이 하락했을 가능성이 있 제주특별자치도가 글로벌 런케이션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국제 교육 협력의 장을 마련한다. 제주도와 교육부는 오는 5월 12일부터 13일까지 서귀포시 중문동 부영호텔에서 ‘글로벌 교육혁신 고등교육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이번 포럼은 제주RISE센터, 글로컬대학협의회, 환태평양대학협회, 경북대 RISE연구센터가 공동 주관한다.현재 제주도는 런케이션 활성화를 위해 중앙대를 시작으로 경희대, 세종대, 동국대, 대전대, 성균관대 등 6개 국내 대학과 협약을 체결했으며 최근에는 미국 프린스턴대, 일본 교토정보대학원대학과도 협약을 맺고 국제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이번 포럼의 메인 세션은 첫날인 5월 12일 오후 5시에 열린다. 제주도와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글로컬대학협의회, 국내 대표 기업 등이 참석해 RISE와 글로컬대학의 글로벌 교육 협력, K-런케이션 모델을 주제로 논의한다. 이 세션에서는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미네르바대 설립자 벤 넬슨 등 국내외 주요 인사가 기조연설에 나선다.메인 세션에 앞서 제주RISE센터는 단독으로 ‘글로벌 K-교육·연구 런케이션, 제주’를 주제로 사전 세션을 진행한다. 이 세션에서는 제주도와 런케이션 협약을 맺은 미국 프린스턴대, 경희대 관계자들이 참여해 향후 계획과 과제 등을 발표한다.포럼 마지막 날인 13일에는 ‘지역대학의 혁신을 통한 지역발전’ ‘지역혁신을 위한 지자체의 역할’ 등을 주제로 다양한 세션이 이어진다.김남진 제주RISE센터장 직무대행은 “제주에서 APEC 교육장관 회의가 열리는 것을 계기로 국제 교육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은 물론 국내외 지역 혁신 모델 공유를 통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 모델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송은범 기자 seb1119@donga.com
트럼프 관세 폭탄에 뉴욕증시가 급락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