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중국 교수가 대구의 자택 서재에서 인터뷰 사진을 찍고 있다. 노중국 교수 제공 노중국(76) 계명대 사학과 명예교수는 백제사 연구의 개척자이다.그의 서울대 대학원 석사(1977년)와 박사(1986) 논문은 해방 후 우리나라 연구자가 쓴 첫 백제사 관련 논문이다. 박사 논문을 보완해 1988년 낸 저술 ‘백제정치사 연구’(일조각·2018년 개정증보판)는 해방 이후 백제사를 다룬 ‘1호 전문 서적’이다.2011년 편집위원장을 맡아 백제문화사대계(전 25권) 연구총서를 발간했고 1년 뒤에는 공주·부여·익산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 추진위원장을 맡아 3년의 노력 끝에 결실을 보았다. 경북 울진이 고향인 그는 영남 지역 한국 고대사 전공 교수들과 함께 1987년 한국고대사학회를 창립해 초대부터 4대까지 회장을 지냈다.그가 2014년 대학 퇴임 뒤 힘을 쏟는 일이 있다. 고대사 인물로 한국사를 짚는 저술 작업이다. 5년 전 ‘역사의 맞수-백제 성왕과 신라 진흥왕’(지식산업사)을 낸 그는 지난달 고구려 고국원왕(?~371)과 백제 근초고왕(?~375)을 라이벌로 다룬 ‘역사의 맞수’ 두 번째 책을 냈다.지난달 31일 이메일로 노 교수를 만났다. ‘역사의 맞수’ 2권 표지. 그는 현재 집필 중인 대가야 역사 책이 마무리되면 그 뒤로 고구려 연개소문과 신라의 김유신, 백제 성충이 주인공인 역사의 맞수 시리즈 3탄을 쓸 생각이다.“세 사람을 두고 일본의 중대형황자(中大兄皇子, 후일 천지천왕)는 ‘한 나라를 지켜 만 리에 이름을 떨쳤고, 그 나라의 준걸’이라 평했죠. 연개소문은 정변을 일으켜 실권을 장악했으나 그가 죽자 고구려는 곧 멸망의 길로 들어섰고, 김유신은 무열대왕과 문무대왕의 깊은 신뢰를 받아 삼국 통일 업적을 남겼어요. 성충은 의자왕에게 간언하다 비참한 최후를 마쳤고요. 셋의 삶은 달랐지만 한 나라를 이끌어간 호걸이었죠. 이들을 중심으로 7세기 후반까지 물고 물리는 삼국의 각축을 정리하고 싶어요.”왜 인물 중심의 책이냐고 하자 그는 “역사는 일정한 공간과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이뤄진 인간의 활동에 관한 연구”라고 답했다. 그는 “초등생 때 읽었던 소설 ‘삼국지’에 나오는 무수한 인물들의 삶의 모습을 보며 그때 받았던 인상이 매우 강해 역사적 사건은 사람을 중심에 두고 봐야 한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었던 것 같다”며 “ [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첫 주말인 6일, 매주 집회가 벌어졌던 서울 도심 곳곳은 성난 구호 소리 대신 즐거운 웃음 소리로 가득했다. 각종 시위로 제대로 된 영업을 하지 못하던 자영업자들은 다시 찾아온 손님들을 맞았고 외국인 관광객들과 시민들은 봄 나들이를 만끽했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이 돌아갈 것으로 보이는 서초동에는 경호원이 배치되는 등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6일 오전 서울 광화문 앞에서 조선 군례의식인 파수의식이 재연되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 관광객들과 시민들이 이를 관람하고 있다. (사진=김형환 기자) 일상 회복한 헌재 앞·한남동…관광객·시민 ‘북적’이날 오전 찾은 헌법재판소 인근. 외국인 관광객들과 시민들이 따스한 날씨를 맘껏 즐기며 이곳저곳을 구경하고 있었다. 헌법재판소 정문과 그 인근은 폴리스라인으로 접근이 통제됐지만 나머지 지역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행로가 확보돼 있었다. 외국인 관광객들은 촘촘하게 세워진 차벽이 신기한 듯 연신 카메라 셔터를 눌렀다. 차벽을 배경 삼아 사진을 찍는 이들도 있었다.지난 금요일 선고에 따른 충돌이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에 일부 가게는 문을 닫은 곳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가게들은 정상 영업을 했다.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유명한 맛집으로 알려진 식당들 앞에는 순서를 기다리는 손님들이 줄을 길게 늘어 서 있었다. 자영업자들의 얼굴에선 오랜만에 잘 되는 장사에 웃음이 떠나지 않았다. 인근에서 한식당을 운영하는 50대 박모씨는 “그간 매출이 반의반 토막이 났었다”면서도 “그래도 이젠 제대로 된 장사를 할 수 있다는 생각에 근심이 싹 사라졌다”고 말했다.아직 윤 전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한남동 관저 인근은 적막이 흘렀다. 이 곳을 가득 메웠던 시위대는 사라졌고 곳곳에 붙어 있는 탄핵 반대 손팻말과 각종 쓰레기들만이 격렬했던 탄핵 반대 시위가 있었던 곳임을 짐작케 했다. 대통령 관저 인근에는 경찰들이 혹시 모를 돌발 사태에 대비해 경계를 서고 있었고 오랜 시간 관저 인근을 머무는 시민들에게 검문을 하기도 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고 경찰과 취재진만이 관저 인근에 있었다.인근 한남동 주민들과 상권은 반색했다. 끊임없이 이어지는 손님들에 자영업자는 바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