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인선 외교 > 문화강좌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문화강좌갤러리

문화강좌갤러리 HOME


강인선 외교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84회 작성일 25-04-07 17:52

본문

강인선 외교부 2차관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지원 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외교부는 7일 오는 10월 경상북도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 21개 회원국 대부분이 참석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또 미국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을 대상으로 초청해 약 300명이 참석토록 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강인선 외교부 2차관은 이날 국회 APEC 정상회의 지원 특별위원회 업무보고에 출석해 “APEC은 회원국으로 운영돼 정상회의 일정이 공유되기 때문에 각국 정상 일정이 정해질 때 감안하게 된다”며 “아직 최종 참가국이 결정되진 않았지만 회원국 대부분 참석할 예정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주요국 정상들이 방한할지 주목이 쏠리고 있다. 아직 참석 여부가 확정되진 않고 소통 중이라는 게 외교부의 입장이지만, 우크라이나 침공 문제가 있는 푸틴 대통령 외에는 참석하는 데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게 외교부와 경북 측의 입장이다. 다만 트럼프 정부는 상호관세 부과를 통해 각국과 개별협상에 나서는 등 자유무역과 다자주의에 반하는 행보를 보인다는 점에서 APEC에 반감을 가질 우려가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한다고 해도 합의문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기존 자유무역과 다자주의 방향을 바꾸려는 시도를 하면서 충돌할 여지도 있다. 이와 관련해 강 차관은 “APEC 정신은 경제협력과 공동번영이 가장 중요하다”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합의문을 만드는 게 의장국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강 차관은 APEC 비회원국 초청안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이철우 경북지사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초청해 트럼프 대통령과 접촉하는 계기가 되면 세계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친 바 있다. 양안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대만 정상을 초청할 수 있을지도 관심이다. 이에 강 차관은 구체적인 설명은 아꼈지만 여러 방안들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APEC 정상회의는 경제협력이 주요 의제인 만큼 다국적기업 CEO들의 참석도 주요한 대목이다. 정부는 대한상공회의소 등 우리 기업단체들과 협력해 주요기업 CEO 30 지난 3일 독일 뒤스부르크의 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들이 선적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뒤스부르크=AP 연합뉴스 미국의 상호관세에 세계 각국이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대응에 나섰다. 중국은 미국의 관세 부과에 곧장 '맞관세'로 받아쳤고, 유럽은 한 달 간의 협상 시도 끝에 이번 주 중으로 관세안 확정에 나선다. 반면, 대만과 일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협의를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대만은 TSMC의 미국 투자 유지, 미국 물품 추가 구입 같은 유화책도 아끼지 않고 있다. 관세 보복 나선 중국·유럽중국은 정면 대결의 길을 택했다. 중국은 지난달 4일 미국이 자국을 대상으로 20% 추가 관세를 부과하자 미국산 농산물에 최대 15%의 관세를 부과하며 대응했다. 이어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34%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자, 이틀 뒤 곧장 중국 상무부도 "오는 10일 낮 12시 1분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34%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맞불을 놓은 상황이다.유럽도 그간 미뤄온 관세 보복을 행동으로 옮기고 있다. EU 집행위원회는 7일 오후 늦게(현지시간) 회의를 열고, 미국산 물품에 최대 50%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복 관세 안을 각 회원국에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 관세 부과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달 11일 시행한 전세계 대상 철강·알루미늄 대상 25% 관세에 대응하는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상을 시도해 온 EU가 미국이 2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등 압박을 이어가자 결국 대응에 나선 것이다. 이번 관세안은 오는 9일 표결을 통해 시행 여부를 결정한다.영국 로이터통신은 EU 외교관을 인용, 관세 부과가 직접적인 보복보다는 유럽 국가 간 단결된 대응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전했다. 대부분 항목에 적용되는 보편 관세를 부과한 중국과는 달리, 특정 항목을 겨냥하고 있다는 점도 차이다. 협상 의지를 보이면서도 향후 트럼프 대통령과의 관세 협상에서 '카드'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와인 등 자국 주력 수출 품목 피해를 우려한 프랑스·이탈리아 등 일부 국가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내용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