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 > 문화강좌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문화강좌갤러리

문화강좌갤러리 HOME


▲ 남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84회 작성일 25-04-07 13:11

본문

▲ 남극해 온난화로 발생하는 원격상관. 네이처 지구과학 제공 멀리 떨어진 남극해의 온난화가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더 습한 여름을 불러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강사라 독일 막스플랑크 기후과학연구소 단장과 김한준 미국 코넬대 박사 연구팀은 남극해의 온난화가 지구 기후에 어떤 변화를 불러일으키는지 분석한 결과를 지난 2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에 발표했다. 남극해는 온실효과로 발생한 열을 흡수해 심해에 저장하고 있는데, 점차 저장 용량이 줄어들며 따뜻해지는 온난화 현상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팀은 이런 효과가 멀리 떨어진 지역 간 서로 영향을 미치는 기상학적 관계인 ‘원격상관’을 통해 다른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기후 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 남극해 열기는 동남풍을 타고 적도로 전파되며 대기와 바다 사이 상호작용에 의해 증폭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저층 구름을 증발시켜 복사열을 반사하는 역할을 하던 구름이 사라지게 만들며 적도 지역 온난화를 증폭시키고, 결과적으로 적도 해양이 따뜻해지면서 동태평양에서 큰 온난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동태평양이 따뜻하고 서태평양은 차가운 ‘엘니뇨’ 현상과 비슷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온난화가 여름철 아시아 제트 기류를 남쪽으로 이동시키고, 이 기류가 티베트 산맥과 더 상호작용하며 더 많은 습기를 동아시아 몬순(계절풍) 강수대에 전달했다. 이를 통해 몬순 강수대에 영향을 받는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는 여름에 더 많은 습기가 발생하며 강수량도 늘어나게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열대 태평양의 온난화는 미국 서부에서 대기 순환을 변화시켜 겨울 강수량을 증가시키는 역할도 한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연구팀은 남극해의 온난화가 매우 천천히 진행되고 있어 이런 형태의 원격상관이 수 세기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동아시아와 미국 서부는 기후 보호 노력이 성공적이어도 세계적 온난화의 결과에 오랫동안 대응해야 할 것”이라며 “장기적인 적응 전략을 세울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고 밝혔다. 태국 방콕 무역항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미국산 수입 확대 방침을 재차 밝혔다. 7일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전날 성명을 통해 미국산 에너지, 항공기, 농산물 수입을 늘리겠다고 말했다.패통탄 총리는 피아치 춘하와치라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이 이끄는 대표단이 이번 주 미국을 방문해 무역 문제를 논의하며 '태국은 미국에 대한 수출국일 뿐만 아니라 미국의 동맹이자 신뢰할 수 있는 친구'라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라고 전했다.그는 미국 상호관세가 태국 전자제품, 가공식품, 농산물 수출 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수입 장벽 완화, 태국을 통한 타국 제품 재수출 억제 방침도 밝혔다.패통탄 총리 성명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고율 상호관세에 대한 대응이 다른 아세안 지도자들에 비해 느리다는 비판 속에 나왔다.미국은 태국에 상호관세율 36%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미국은 태국의 최대 수출국이다. 태국은 지난해 미국을 상대로 456억 달러(약 67조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비상이 걸렸다.상호관세율이 46%에 달하는 베트남도 긴급 대응에 나섰다.AFP통신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공식 서한에서 상호관세 부과 시점을 최소 45일 연기해달라고 요청했다. 럼 서기장은 서한에서 호 득 폭 부총리에게 가능한 한 빨리 합의에 도달하는 것으로 목표로 미국과의 협상을 맡겼다고 덧붙였다.그는 또한 트럼프 대통령과 다음 달 말 미국에서 만나 관세 문제를 마무리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럼 서기장이 최근 통화에서 "미국과 협정을 맺을 수 있다면 베트남의 관세를 '0'으로 낮추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한 바 있다. 베트남은 지난해 중국·유럽연합(EU)·멕시코에 이어 미국 교역 상대국 중 4번째로 큰 1천235억 달러(약 181조원)의 대미 흑자를 기록했다.double@yna.co.kr▶제보는 카톡 okjebo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내용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