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헤럴드경제=최은지
[게티이미지뱅크]·[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진짜 붙이기만 해도 살이 빠진다고?”글로벌 제약사들의 비만약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인 우리나라 제약업계도 비만 치료제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특히 기존 신약과 차별화를 두기 위해 투여 편의성을 고려한 ‘붙이는 비만약’ 개발이 주목된다.현재 글로벌 시장을 강타한 비만 치료제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와 삭센다, 릴리의 젭바운드 등은 펜 타입 주사기 제형인데, 동일한 효과라면 직접 주사를 맞는 것보다는 먹는 것이, 먹는 것보다는 붙이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특히 패치형 비만 치료제는 1㎠ 초소형 패치를 팔과 복부 등에 부착하는 마이크로니들을 활용해, 주사나 먹는 방식에 비해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극대화된다. 통증도 없고, 감염 우려가 적으며, 상온 보관이 가능하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더구나 노보노디스크의 GLP-1 수용체 작용제 약물인 세마글루타이드의 물질 특허는 내년 12월5일 만료되지만, 제형 특허는 2031년까지이기 때문에 주사제형보다 패치형 비만 치료제 출시가 빠를 수 있다는 전략이다.마이크로니들 전문 기업 라파스는 최근 ‘DW1022’ 임상 1상 결과와 관련해 언급해 주목을 받았다. DW1022는 대원제약이 개발·생산한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성분 원료의약품(API)에 라파스의 마이크로니들 패치 기술을 접목한 ‘붙이는 비만 치료제’다.임상 1상 결과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통해 GLP-1이 우리 몸에 문제없이 전달됐다는 것을 확인했다. 정도현 라파스 대표는 주주총회에서 “임상시험 대상자 30명 전원의 혈액에서 세마글루타이드가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임상시험에서 마이크로니들 패치로 만든 의약품의 혈중 약물 농도를 확인한 것은 세계 최초”라고 밝혔다.대웅제약이 개발 예정인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패치 이미지. [대웅제약 제공]대웅제약은 R&D(연구개발) 전문 대웅테라퓨틱스와 세마글루타이드 계열의 패치형 마이크로니들 제형 ‘DWRX5003’을 개발하고 있다. 대웅테라퓨틱스는 자체 마이크로니들 기술 플랫폼인 ‘클로팜’을 보유하고 있다.마이크로니들이 미세혈관을 통해 GLP-1 약물을 전달해 1주일에 한 번만 피부에 붙이면 기존 주사제형과 동일한 약효를 볼 수 있다. 대웅제약은 현재 국내 최초로 인성장호르몬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패치 임상 1상 진행 중인데, 이후 마이크로니들 비만 치료제 개발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동아ST는 의료용 마이크[게티이미지뱅크]·[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진짜 붙이기만 해도 살이 빠진다고?”글로벌 제약사들의 비만약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인 우리나라 제약업계도 비만 치료제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특히 기존 신약과 차별화를 두기 위해 투여 편의성을 고려한 ‘붙이는 비만약’ 개발이 주목된다.현재 글로벌 시장을 강타한 비만 치료제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와 삭센다, 릴리의 젭바운드 등은 펜 타입 주사기 제형인데, 동일한 효과라면 직접 주사를 맞는 것보다는 먹는 것이, 먹는 것보다는 붙이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특히 패치형 비만 치료제는 1㎠ 초소형 패치를 팔과 복부 등에 부착하는 마이크로니들을 활용해, 주사나 먹는 방식에 비해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극대화된다. 통증도 없고, 감염 우려가 적으며, 상온 보관이 가능하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더구나 노보노디스크의 GLP-1 수용체 작용제 약물인 세마글루타이드의 물질 특허는 내년 12월5일 만료되지만, 제형 특허는 2031년까지이기 때문에 주사제형보다 패치형 비만 치료제 출시가 빠를 수 있다는 전략이다.마이크로니들 전문 기업 라파스는 최근 ‘DW1022’ 임상 1상 결과와 관련해 언급해 주목을 받았다. DW1022는 대원제약이 개발·생산한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성분 원료의약품(API)에 라파스의 마이크로니들 패치 기술을 접목한 ‘붙이는 비만 치료제’다.임상 1상 결과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통해 GLP-1이 우리 몸에 문제없이 전달됐다는 것을 확인했다. 정도현 라파스 대표는 주주총회에서 “임상시험 대상자 30명 전원의 혈액에서 세마글루타이드가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임상시험에서 마이크로니들 패치로 만든 의약품의 혈중 약물 농도를 확인한 것은 세계 최초”라고 밝혔다.대웅제약이 개발 예정인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패치 이미지. [대웅제약 제공]대웅제약은 R&D(연구개발) 전문 대웅테라퓨틱스와 세마글루타이드 계열의 패치형 마이크로니들 제형 ‘DWRX5003’을 개발하고 있다. 대웅테라퓨틱스는 자체 마이크로니들 기술 플랫폼인 ‘클로팜’을 보유하고
[게티이미지뱅크]·[헤럴드경제=최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