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언스플래쉬 제공] > 문화강좌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문화강좌갤러리

문화강좌갤러리 HOME


반려견 [언스플래쉬 제공]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56회 작성일 25-04-13 01:41

본문

반려견 [언스플래쉬 제공] 개가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a)포식성 행동과 추격으로 야생동물 도주, 사망, 에너지 및 번식 등에 영향, (b)지역 생물 다양성·풍부성·번식에 영향, (c)개가 물에 들어갈 경우 화학약품 등 수생 생물 영향 (d) 소변과 대변으로 인한 수로 질소 증가 및 수생 식물 영향, 인수공통감염병 및 기생충의 확산 가능성. [Pacific Conservation Biology / Bill Bateman et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 세계에서 반려동물로 가장 많이 사육되는 개가 주변 야생동물의 서식을 방해하는 등 생태계와 기후 등에 심각하고 다각적인 위협을 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호주 커틴대 빌 베이트먼 교수팀은 12일 국제학술지 '태평양 보존 생물학(Pacific Conservation Biology)'에서 "반려견이 야생동물과 생태계, 기후에 광범위하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인간의 가장 친한 친구가 자연엔 최악의 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연구팀은 개는 반려동물로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동물로 그 수가 매우 많지만, 이들이 생물 다양성이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야생 고양이와 반려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고 말했다.반려견은 미국에 약 9000만 마리, 영국에 1200만 마리, 호주에 600만 마리가 있는 등 세계적으로 반려견을 기르는 가정이 10억 가구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해당 연구에선 반려견의 포식성 행동부터 직접적 교란 행동, 주변 산책이나 놀이 등으로 인한 야생동물 방해, 반려견이 환경에 남기는 소변 같은 잔여물의 영향 등과 반려동물 사료 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했다.베이트먼 교수는 "반려견은 목줄을 채운 상태에서도 해변 도요새를 방해하고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개는 야생동물을 쫓는 포식성 행동뿐만 아니라 냄새, 배설물 등을 남겨 야생동물 행동을 오래 방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미국에선 사슴과 여우, 짧은꼬리살쾡이(bobcat) 같은 동물 [앵커]조류인플루엔자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닭이나 오리 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옮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전문가들은 제2의 팬데믹까지 경고하고 있는데요.우리도 백신 비축 등 준비를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지만, 국내 개발 백신은 아직도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홍성희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리포트]조류 인플루엔자의 인체 감염으로 인한 사망 사례, 최근 미국과 멕시코에서 잇따라 확인됐습니다.미국에서는 지난해 확진된 감염자 66명 가운데 한 명이 올해 숨졌고, 멕시코에서도 최근 3살 어린이가 숨졌습니다.대부분이 젖소 등 접촉이 잦은 포유류를 통해 고병원성 H5N1 바이러스에 감염된 걸로 추정됩니다.그리고 같은 종류의 바이러스가 최근 고양이, 삵 등 국내 포유류에서도 검출되고 있습니다.[지영미/질병관리청장/지난 1월 : "언제라도 조류인플루엔자의 인체 감염 전파, 대유행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굉장히 강하게 보여 주고 있습니다."]제2의 팬데믹 가능성까지 거론되자 지난해 정부는 국내외 백신 비축을 약속했습니다.국내의 H5N1형 백신은 10년 전 승인받은 한 제약사의 백신이 유일합니다.그마저 개발 당시엔 2000년대 초 유행한 바이러스를 기초로 만들어진 제품입니다.질병관리청은 국회 답변 자료를 통해, "현재 해외에서 유행 중인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해당 백신의 효과성 입증 결과는 보고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대안으로 해외 백신도 검토해야 하지만, 예산이 없습니다.질병청은 지난해 예산 70억 원을 신청했는데 국회에서 전액 삭감됐습니다.[김우주/고려대학교 백신혁신센터 교수 : "코로나19 팬데믹 시 백신의 중요성을 그렇게 실감하고도 금방 잊어버린 것 같습니다. (백신이) 사회적 거리두기의 폐해 없이도 인명 피해도 줄이고…."]세계보건기구는 H5N1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시 치명률이 50%에 육박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고석훈 김지혜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내용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