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선 관전 포인트 5개>①민주화 이후 가장 이른 대선②완연한 봄날, 선거 운동 실시③인수위 없어 예비 내각 주목④차기 대통령실, 어디에 마련?⑤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개헌'10일 경기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개최된 제21대 대통령 선거 투·개표 시연회 중 선관위 관계자가 모의 투표지를 꺼내고 있다. 과천=뉴시스제21대 대통령 선거가 51일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선고에 따라 정부가 차기 대선일을 6월 3일로 확정하면서 운명의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헌정 역사상 6월 대선은 처음이다. 21대 대선은 장미가 필 무렵의 선거라는 이유로 '장미 대선'으로도 불린다. 겨울이 아닌 봄에 치러진 대선은 2017년(19대)에도 있었다. 그해 3월 '국정농단 사태'로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됐고, 두 달 뒤인 5월 9일 최초의 장미 대선이 실시됐다.대통령 궐위에 따른 조기 선거라는 점에서 19대 대선과 21대 대선은 닮은꼴이다. 하지만 차이점도 있다. 윤 전 대통령의 12·3 불법 계엄이 6·3 대선의 직접적 원인이 된 만큼, 이번에는 그 어느 때보다도 제왕적 대통령제를 손질하는 개헌 논의가 쟁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개헌 이슈를 비롯해 21대 대선의 관전 포인트 다섯 가지를 짚어봤다.①3년여 만의 대선에 선관위 '발등의 불'제21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 8일 경기 과천시에 있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청사 전경 모습. 과천=연합뉴스6·3 대선은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래 직전 대선과의 시간적 간격이 가장 짧다. 2022년 3월 20대 대선을 치른 지 불과 3년 3개월 만이다. 19대 대선도 박 전 대통령 탄핵에 따른 '대통령 궐위' 사유로 애초 예정에 비해 일찍 실시되긴 했지만, 7개월가량 당겨졌을 뿐이었다. 박 전 대통령의 경우 임기를 11개월 남긴 시점에서 파면됐다. 반면에 윤 전 대통령은 임기를 2년 1개월이나 남겨 두고 대통령직에서 쫓겨났다. 윤 전 대통령이 정상적으로 임기를 정상적으로 마쳤다면 21대 대선은 2027년 3월 실시될 터였다. 원래보다 1년 9개월이나 앞당겨진 셈이다.예정에 없던 대선을 준비하게 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발등엔 불이 떨어졌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예상치 못한 대선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기획재정부와 예비비 협<제21대 대선 관전 포인트 5개>①민주화 이후 가장 이른 대선②완연한 봄날, 선거 운동 실시③인수위 없어 예비 내각 주목④차기 대통령실, 어디에 마련?⑤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개헌'10일 경기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개최된 제21대 대통령 선거 투·개표 시연회 중 선관위 관계자가 모의 투표지를 꺼내고 있다. 과천=뉴시스제21대 대통령 선거가 51일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선고에 따라 정부가 차기 대선일을 6월 3일로 확정하면서 운명의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헌정 역사상 6월 대선은 처음이다. 21대 대선은 장미가 필 무렵의 선거라는 이유로 '장미 대선'으로도 불린다. 겨울이 아닌 봄에 치러진 대선은 2017년(19대)에도 있었다. 그해 3월 '국정농단 사태'로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됐고, 두 달 뒤인 5월 9일 최초의 장미 대선이 실시됐다.대통령 궐위에 따른 조기 선거라는 점에서 19대 대선과 21대 대선은 닮은꼴이다. 하지만 차이점도 있다. 윤 전 대통령의 12·3 불법 계엄이 6·3 대선의 직접적 원인이 된 만큼, 이번에는 그 어느 때보다도 제왕적 대통령제를 손질하는 개헌 논의가 쟁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개헌 이슈를 비롯해 21대 대선의 관전 포인트 다섯 가지를 짚어봤다.①3년여 만의 대선에 선관위 '발등의 불'제21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 8일 경기 과천시에 있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청사 전경 모습. 과천=연합뉴스6·3 대선은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래 직전 대선과의 시간적 간격이 가장 짧다. 2022년 3월 20대 대선을 치른 지 불과 3년 3개월 만이다. 19대 대선도 박 전 대통령 탄핵에 따른 '대통령 궐위' 사유로 애초 예정에 비해 일찍 실시되긴 했지만, 7개월가량 당겨졌을 뿐이었다. 박 전 대통령의 경우 임기를 11개월 남긴 시점에서 파면됐다. 반면에 윤 전 대통령은 임기를 2년 1개월이나 남겨 두고 대통령직에서 쫓겨났다. 윤 전 대통령이 정상적으로 임기를 정상적으로 마쳤다면 21대 대선은 2027년 3월 실시될 터였다. 원래보다 1년 9개월이나 앞당겨진 셈이다.예정에 없던 대선을 준비하게 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발등엔 불이 떨어졌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예상치 못한 대선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기획재정부와 예비비 협상을 하고 있고, 행정안전부에는 선거 투·개표 업무에 투입될 공무원 인력 확보를 논의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투표소 확보도 시급한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