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차입금 규모 49조원…캐즘에도 미래 투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5-18 09:48본문
올해 1분기 차입금 규모 49조원…캐즘에도 미래 투자
올해 1분기 차입금 규모 49조원…캐즘에도 미래 투자 지속배터리 수요 감소에 가동률 하락…"2분기엔 점차 오를 것" (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 =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지속으로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차입금이 올해 1분기에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공장 가동률도 꾸준히 하락하는 등 국내 배터리 업계의 보릿고개가 길어지는 모습이다.LG에너지솔루션, '인터배터리 2025' 참가(서울=연합뉴스) LG에너지솔루션 인터배터리 2025 부스 조감도. 2025.2.23 [LG에너지솔루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18일 각 사가 공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배터리 3사의 차입금 규모는 49조6천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기준 42조5천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7조원 이상 늘어난 것이다. 배터리 3사는 차입금을 늘려 북미·유럽을 포함한 해외 공장 증설, 기술 투자 등에 재원을 쏟았다. 차입금 증가로 재무 부담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캐즘 이후 승기를 잡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1분기 기준 기업별 차입금 규모는 LG에너지솔루션 17조6천126억원, 삼성SDI 11조6천155억원, SK온 20조3천907억원이다. 이 가운데 SK온은 작년 말(15조5천997억원)보다 차입금이 4조7천910억원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이는 1분기에 미국 에너지부의 '첨단기술차량제조'(ATVM) 프로그램에 따른 정부대여금이 6조3천304억원 증가했기 때문이다. 반면 단기 차입금은 1개 분기 만에 2조3천925억원가량 줄였다. LG에너지솔루션은 차입금이 2조2천220억원 늘었는데 1분기에 원화 회사채 1조6천억원 등을 조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삼성SDI는 377억원 수준으로 차입금 증가 폭이 가장 작았다. 자금조달 방식으로 차입금에 포함되는 회사채가 아닌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향후 회사채를 발행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삼성SDI는 지난달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2023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캐즘 영향이 계속되고 있지만 이차전지 투자는올해 1분기 차입금 규모 49조원…캐즘에도 미래 투자 지속배터리 수요 감소에 가동률 하락…"2분기엔 점차 오를 것" (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 =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지속으로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차입금이 올해 1분기에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공장 가동률도 꾸준히 하락하는 등 국내 배터리 업계의 보릿고개가 길어지는 모습이다.LG에너지솔루션, '인터배터리 2025' 참가(서울=연합뉴스) LG에너지솔루션 인터배터리 2025 부스 조감도. 2025.2.23 [LG에너지솔루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18일 각 사가 공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배터리 3사의 차입금 규모는 49조6천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기준 42조5천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7조원 이상 늘어난 것이다. 배터리 3사는 차입금을 늘려 북미·유럽을 포함한 해외 공장 증설, 기술 투자 등에 재원을 쏟았다. 차입금 증가로 재무 부담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캐즘 이후 승기를 잡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1분기 기준 기업별 차입금 규모는 LG에너지솔루션 17조6천126억원, 삼성SDI 11조6천155억원, SK온 20조3천907억원이다. 이 가운데 SK온은 작년 말(15조5천997억원)보다 차입금이 4조7천910억원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이는 1분기에 미국 에너지부의 '첨단기술차량제조'(ATVM) 프로그램에 따른 정부대여금이 6조3천304억원 증가했기 때문이다. 반면 단기 차입금은 1개 분기 만에 2조3천925억원가량 줄였다. LG에너지솔루션은 차입금이 2조2천220억원 늘었는데 1분기에 원화 회사채 1조6천억원 등을 조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삼성SDI는 377억원 수준으로 차입금 증가 폭이 가장 작았다. 자금조달 방식으로 차입금에 포함되는 회사채가 아닌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향후 회사채를 발행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삼성SDI는 지난달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2023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캐즘 영향이 계속되고 있지만 이차전지 투자는 당장의 수요가 아니고 최소 2∼3년 후에 이뤄져야 한다"며 "계획대로 차질 없이 투자를
올해 1분기 차입금 규모 49조원…캐즘에도 미래 투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