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각 후보들은 공식 선거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5-12 21:28본문
[앵커]각 후보들은 공식 선거운동 시작과 함께, 10대 공약도 발표했습니다.이재명 후보는 인공지능 육성, 김문수 후보는 친기업, 이준석 후보는 정부 부처 축소를 1호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박진수 기자입니다.[리포트]대선 후보들의 공약은 경제성장에 방점이 찍혔습니다.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1호 공약으로 새로운 성장 기반을 구축해 경제 강국을 만들겠다고 약속했습니다.AI와 콘텐츠 산업, 방산 분야 등을 미래 먹거리로 제시했습니다.[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국민들의 먹고사는 문제, 민생, 경제…."]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전면에 내세웠습니다.규제 완화와 세제 정비, 투자 활성화를 약속했는데, 이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했습니다.[김문수/국민의힘 대선후보 : "경제 대통령이 돼야 하겠다. 우리 대한민국이 잘 사는 (그런) 대통령이 돼야 하겠다."]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1호 공약은 정부 부처 통폐합입니다.19개 부처를 13개로 축소해 칸막이 행정을 최소화하겠다는 구상입니다.[이준석/개혁신당 대선후보/지난달 30일/관훈클럽 초청 토론회 : "업무가 중복되거나 옥상옥으로 지적받아 왔던 부처는 실무 위주로 개편하겠습니다."]핵심 지지층을 겨냥한 공약도 내놨습니다.이재명 후보는 내란 극복과 민주주의 회복, 검찰의 수사-기소권 분리를, 김문수 후보는 선거관리위원회 외부 감사 도입, 핵무기 설계 기술 축적을, 이준석 후보는 신-구 국민연금 재정 분리와 과학기술인 연금 등을 각각 내놨습니다.[강우창/KBS 공약검증 자문단/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국민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이슈를 초점을 맞춰서 1번 공약으로 제시를 하는 것 같고요. 현시점에서는 경제가 어렵다."]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증세를 통한 불평등 해소를 1호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KBS 뉴스 박진수입니다. 촬영기자:신동곤/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가 지난 11일 오후 별세했다. 향년 97세.여성가족부와 경기 나눔의집은 이 할머니가 지난 11일 오후 8시5분쯤 성남의 한 요양병원에서 별세하셨다고 밝혔다. 이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면서 여가부에 등록된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으로 줄었다. 생존자 평균 연령은 95.6세로, 96세 이상이 4명, 90~95세가 2명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가 2017년 3월 1일 서울 종로구 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272차 수요시위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할머니는 1928년 부산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다. 14세가 되던 1942년 일본군으로 추정되는 남성들에게 납치돼 중국의 위안소로 끌려가 3년간 고초를 겪었다. 손과 발에는 당시 일본군 도검에 찔린 흉터가 남았고, 구타 후유증으로 치아가 빠지거나 청력이 약해지기도 했다.이 할머니는 해방 이후에도 중국에서 생활하다 58년만인 2000년 6월 귀국했다. 한국에 돌아와 형제자매를 찾아봤지만 모두 세상을 뜬 상태였다. 2001년 12월에서야 국적을 회복했고 정부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했다. 귀국 당시 가족에 의해 사망신고가 이미 돼있는 상태라 국적 회복이 늦어졌다.이 할머니는 고령과 지병에도 국내외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참상을 알려왔다. 말을 정돈되게 잘하고 위안부 문제 해결에 커다란 의지를 내보였다고 알려져 있다. 2002년 미국 브라운대 증언집회를 시작으로 일본, 호주 등지를 거의 매년 방문해 위안부 피해 사실을 알렸다. 2013년에는 미국, 독일, 일본 3개국 12개 도시를 오가는 강행군 일정을 소화했다. 아흔살 때는 고초를 겪었던 중국에서 피해를 증언했다. 이 할머니는 광주 남구 평화의 소녀상의 모델이기도 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씨(오른쪽)가 2016년 1월 26일 오후 일본 도쿄 중의원 제1의원회관에서 “당사자인 위안부 피해자를 배제한 채 이루어진 한·일 합의는 인정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 왼쪽은 또다른 피해자 강일출씨. 경향신문 자료사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