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숫자로 보는 하
━ [숫자로 보는 하이퍼튜브] 하이퍼튜브 주행시험을 위한 축소형 아진공 튜브 공력시험장치. 사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시속 1200㎞.’ 이 속도라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약 400㎞ 거리를 20분 이내에 도착 가능하다. 현재 시속 300㎞인 KTX로는 중간에 서지 않고 달려도 1시간 50분가량이 소요된다. 시속 1200㎞는 소리가 퍼져나가는 속도인 ‘음속(音速)’에 맞먹는 수준이다. 음속은 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시속으로 환산하면 1200㎞를 조금 넘는다. 만약 이 속도로 달리는 열차가 개발된다면 ‘음속열차’로 불러도 될 듯싶다. 국토교통부가 최근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발표한 열차가 바로 이것이다. 외국에선 흔히 ‘하이퍼루프(Hyperloop)’로 불리지만 우리나라에선 ‘하이퍼튜브(Hypertube)’란 명칭을 쓴다. 하이퍼튜브는 기술적으론 상당히 복잡하지만, 단순화하면 거의 진공상태(아진공)인 튜브(터널) 안에서 살짝 띄워진 밀폐형 자기부상 캡슐(차량)이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달리는 미래형 초고속 교통시스템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하이퍼튜브를 구현하려면 ▶차량을 고속 주행시키는 ‘자기부상·추진기술’ ▶극한의 아진공 환경(0.001~0.01 기압)을 유지하는 ‘아진공 튜브 설계·시공 기술’ ▶객실 기밀을 유지하며 안정적 승차감을 제공하는 ‘차량 설계·제작 기술’이 필요하다. 자료 국토교통부 2027년까지 모두 127억원을 들여서 우선 개발하려는 건 자기부상·추진기술이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기연)이 주관연구기관으로 한국전기연구원, 한국교통대학교 등 여러 연구기관과 대학이 참여한다. 정부는 하이퍼튜브를 개발하면서 ▶메가시티 간 중·장거리 초고속 이동수단 확대 ▶전국 주요 지역 간 1~2시간 이내 이동 ▶교육, 문화, 경제 인프라 공유 및 균형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해외 초고속열차 시장 진출 역시 염두에 두고 있다고 한다. 하이퍼루프가 세계적으로 관심을 끈 건 2013년 테슬라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가 관련 아이디어를 제안하면서다. 28인승의 밀폐형 캡슐이 튜브 안에서 뜬 채로 음속으로 주행하는 개념으로 샌프란시스코~로스앤젤레스 구간을 30분 만에 주파 가능하다는 얘기였다. 이 구간의 길이는 약 613㎞로 자동차로는 5시간 30분, 비행기로도 1 ━ [숫자로 보는 하이퍼튜브] 하이퍼튜브 주행시험을 위한 축소형 아진공 튜브 공력시험장치. 사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시속 1200㎞.’ 이 속도라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약 400㎞ 거리를 20분 이내에 도착 가능하다. 현재 시속 300㎞인 KTX로는 중간에 서지 않고 달려도 1시간 50분가량이 소요된다. 시속 1200㎞는 소리가 퍼져나가는 속도인 ‘음속(音速)’에 맞먹는 수준이다. 음속은 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시속으로 환산하면 1200㎞를 조금 넘는다. 만약 이 속도로 달리는 열차가 개발된다면 ‘음속열차’로 불러도 될 듯싶다. 국토교통부가 최근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발표한 열차가 바로 이것이다. 외국에선 흔히 ‘하이퍼루프(Hyperloop)’로 불리지만 우리나라에선 ‘하이퍼튜브(Hypertube)’란 명칭을 쓴다. 하이퍼튜브는 기술적으론 상당히 복잡하지만, 단순화하면 거의 진공상태(아진공)인 튜브(터널) 안에서 살짝 띄워진 밀폐형 자기부상 캡슐(차량)이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달리는 미래형 초고속 교통시스템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하이퍼튜브를 구현하려면 ▶차량을 고속 주행시키는 ‘자기부상·추진기술’ ▶극한의 아진공 환경(0.001~0.01 기압)을 유지하는 ‘아진공 튜브 설계·시공 기술’ ▶객실 기밀을 유지하며 안정적 승차감을 제공하는 ‘차량 설계·제작 기술’이 필요하다. 자료 국토교통부 2027년까지 모두 127억원을 들여서 우선 개발하려는 건 자기부상·추진기술이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기연)이 주관연구기관으로 한국전기연구원, 한국교통대학교 등 여러 연구기관과 대학이 참여한다. 정부는 하이퍼튜브를 개발하면서 ▶메가시티 간 중·장거리 초고속 이동수단 확대 ▶전국 주요 지역 간 1~2시간 이내 이동 ▶교육, 문화, 경제 인프라 공유 및 균형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해외 초고속열차 시장 진출 역시 염두에 두고 있다고 한다. 하이퍼루프가 세계적으로 관심을 끈 건 2013년 테슬라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가 관련 아이디어를 제안하면서다. 28인승의 밀폐형 캡슐이 튜브 안에서 뜬 채로 음속으로 주행하는 개념으로 샌프란시스코~로스앤젤레스 구간을 30분 만에 주파 가능하다는 얘기였다. 이 구간의 길이는 약 613㎞로 자동차로는 5시간 30분, 비행
━ [숫자로 보는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