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서 > 문화강좌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문화강좌갤러리

문화강좌갤러리 HOME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5-04-14 08:18

본문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서은숙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주말 사이에도, 간밤에도 오락가락했습니다. 정책은 신뢰를 잃어가고, 동맹국들도 등을 돌리고 있습니다. 스타트경제, 오늘은 서은숙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와 함께합니다. 교수님, 어서 오십시오. 저도 방송도 있고 해서 외신도 열심히 보고 어떤 정책들이 나오는지 계속 찾아보고 있는데 이제는 정말 못 따라하겠어요. 트럼프의 관세정책을 따라가지 못하겠는데 석 달 안에 90건의 협상을 마무리하겠다고 이야기를 했어요. 상식적으로 가능한 일입니까? [서은숙] 이게 사실 90일간의 유예기간을 준 이유가 한 세 가지 정리로 정리할 수가 있는데 첫 번째가 무역 상대국들한테 일정한 시간적인 여유를 주면서 그다음에 관세 부과라는 위협을 활용해서 미국에 유리한 조건으로 협상 테이블에 나오도록 하는 압박 전략으로 우리가 볼 수 있거든요. 그런데 다 아시다시피 각 국가마다 이해관계가 굉장히 복잡하게 얽혀 있잖아요. 그래서 90건이라는 대규모 협상을 90일 내에 이것을 모두 다 마무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굉장히 어렵다고 우리가 생각을 할 수가 있고요. 그다음에 중요한 건 중국을 겨냥한 어떻게 보면 압박 전략이었거든요. 그래서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하고는 신속하게 협상을 진행하면서 이것을 중국을 고립시키는 전략으로 쓰려고 하는 의도였는데 오히려 중국이 보복관세를 굉장히 강하게 강화를 하면서 맞대응을 하고 있는 상황이잖아요. 그래서 협상 환경이 오히려 더 악화되고 있다라고 분석이 되고 있고요. 그다음에 또 갑작스럽게 관세를 인상하게 됐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가 미국 내 소비자들하고 기업의 불확실성이 굉장히 커지는 부분에 어느 정도 유예를 주려고 90일의 기간을 준 것도 있는데 오히려 지금 관세를 유예시키는 그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시장 불안정성과 소비자의 불 [앵커]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첫 정식 재판이 오늘부터 시작됩니다.계엄군 관계자들이 증인으로 출석하는데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 병력 투입에 대한 신문이 이뤄질 예정입니다.보도에 김영훈 기자입니다.[리포트]'12·3 비상계엄'의 정점으로 지목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형사재판이 본격 시작됩니다.서울중앙지법은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1차 공판기일을 오늘(14일) 오전 10시부터 엽니다.첫 공판기일부터는 피고인 출석 의무가 있어 윤 전 대통령은 앞으로 사저와 법원을 오가며 재판에 출석할 전망입니다.이날 검찰은 PPT 자료를 토대로 공소사실 요지를 발표하고, 이어 윤 전 대통령 측 입장 진술이 진행됩니다.이후 검찰 측이 신청한 조성현 수도방위사령부 1경비단장과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1특전대대장의 증인 신문이 이어집니다.앞서 탄핵심판에서 헌재가 유일하게 직권 증인신청했던 조 단장은 비상계엄 당시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한 바 있습니다.[정형식/헌법재판관/지난 2월 13일/탄핵심판 8차 변론 : "정확히 워딩이 '본청 안으로 들어가라’'국회의원을 끌어내라' 이렇게 했다는 말입니까?"][조성현/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지난 2월 13일/탄핵심판 8차 변론 : "그렇습니다. '내부로 들어가서 의원들을 끌어내라.'"]검찰은 비상계엄이 '국헌문란'과 '폭동' 등 내란죄 요건을 충족한다고 입증하는데 주력할 방침입니다.재판부에 헌재의 탄핵 결정문도 제출합니다.반면 윤 전 대통령 측은 검찰의 공소사실을 모두 부인하면서, 내란죄 수사권이 없는 공수처의 수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불법적인 공소제기라고 맞서고 있습니다.KBS 뉴스 김영훈입니다. 촬영기자:유현우/그래픽:이호영/영상편집:신남규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내용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